투자기록노트

주식거래는 왜 실시간이 아닐까? – 호가와 체결의 구조를 쉽게 풀어보는 초보자 가이드

현실돈 연구자 2025. 7. 14. 23:18

주식을 처음 시작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을 하게 된다.
'매수 버튼을 눌렀는데 체결이 안 됐다'
'지금 장이 열려 있는데 왜 주문이 멈춰있지?'
'호가창에 숫자들이 있는데 이건 뭘 의미하는 거지?'

이러한 궁금증은 대부분 ‘호가’와 ‘체결’의 차이, 그리고
주식 거래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

이 글에서는 주식 주문이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는 이유,
호가창의 구조, 그리고 주문이 실제로 거래로 바뀌는 과정까지 적어보려한다.

 

주식 거래는 단순한 클릭이 아니다

우리가 앱에서 매수나 매도 버튼을 누르는 순간,
그 주문이 곧바로 체결될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가격이 일치해야만 거래가 성사된다.

즉, 주식 거래는 한쪽이 사고 싶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같은 가격에 사고 싶고 팔고 싶은 사람이 만나야 가능한 구조
다.

 

‘호가’란 무엇인가?

'호가(呼價)'

“지금 이 가격에 사고 싶어요” 혹은
“이 가격에 팔고 싶어요”라는 의사를 표시한 가격이다.

호가창이란,
매수자와 매도자가 얼마에 사고 싶고, 팔고 싶은지를 보여주는 실시간 게시판이다.

 

호가창 기본 구조

매수호가 잔량 잔량 매도호가
19,950원 1,200주 800주 20,000원
19,900원 980주 1,500주 20,050원
19,850원 650주 2,000주 20,100원
  • 매수호가: 이 가격 이하로는 사고 싶지 않다는 뜻
  • 매도호가: 이 가격 이상으로는 팔고 싶지 않다는 뜻
  • 잔량: 해당 가격에 대기 중인 주문 수량

즉, 호가창은 시장에 있는 대기 중인 주문표다.

 

왜 ‘지정가’ 주문이 체결되지 않을까?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나는 분명 20,000원에 사고 싶다고 눌렀는데 왜 안 사졌지?'라고 궁금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지정가 주문은 그 가격에 누군가 ‘팔겠다고’ 해야만 체결되기 때문이다.

 

즉, 20,000원에 매수 주문을 넣었다 해도
현재 가장 낮은 매도호가가 20,050원이라면
거래는 성사되지 않고 대기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시장가’ 주문은 어떻게 다를까?

시장가는 말 그대로 시장에 나와 있는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즉시 매수/매도하는 방식이다.

  • 매수 시장가 → 가장 낮은 매도호가부터 순서대로 체결됨
  • 매도 시장가 → 가장 높은 매수호가부터 순서대로 체결됨

단점은
가격을 직접 통제하지 않기 때문에
예상보다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팔릴 수 있다.

 

체결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실제 체결은 ‘호가가 일치하는 순간’에 거래소 서버에서 자동으로 실행된다.
누군가가 20,000원에 팔겠다고 매도호가를 내고
동시에 다른 누군가가 20,000원에 사고 싶다고 하면
그 주문은 바로 체결되고 거래가 성립된다.

 

호가창에 보이는 숫자의 의미

호가창에 보이는 각 호가 옆 숫자는 해당 가격에서
얼마만큼의 수량이 대기 중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900 | 980’이라면
19,900원에 980주가 매수 주문으로 걸려 있다는 뜻이다.

 

실시간처럼 보여도 ‘지연’이 있는 이유

모바일 앱이나 웹에서 주식 거래를 보면 실시간처럼 보여도
몇 초의 지연은 항상 발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서버와 앱 간의 데이터 전송 시차
  • 증권사 API 응답 속도 차이
  • 시장 참여자 수 증가 시 처리 지연
  • 프리마켓/애프터마켓의 낮은 유동성

특히 장 시작 직후나 마감 직전엔
호가창이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실시간이라고 해도 반영에는 미세한 시차가 생긴다.

 

정리 – 거래는 ‘서로의 가격이 맞아야만’ 가능하다

주식 거래는 단순한 버튼 클릭이 아니다.
매수자와 매도자가 동일한 가격에 서로 만나야만 체결이 성립한다.
그리고 그 가격대별로 누가 몇 주를 주문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호가창’이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 왜 주문이 대기 상태로 멈춰 있는지
  • 어떤 주문이 실시간으로 체결되는지
  • 시장가와 지정가의 차이는 무엇인지
    등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주식거래